"제로클릭" 이제 그 누구도 안심할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구독자 여러분, 판다랭크입니다! 🤖
여러분, 혹시 최근에 네이버와 구글에 어떤 키워드 검색을 하셨나요? 그리고, 어떤 결과를 얻으셨나요?
혹시 네이버와 구글이 아니라 GPT, Gemini, Claude 와 같이 AI한테 궁금증을 검색한 분도 계신가요? 에디터도 요즘 궁금한 것을 해결하기 위해, AI 검색을 정말 잘 사용하고 있답니다. 🔎
네이버와 구글의 검색은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는데요.
예전에는 상위 노출에 정말 목숨을 거는 시대였죠. 하지만 시간이 지나며 스니펫 (짧은 텍스트, 코드 조각을 의미하는 말) 을 보여주는 검색으로도 진화했고, 이젠 AI 검색으로 검색의 방향이 많이 달라진 시대라고 느껴져요.
요즘 떠오르고 있는 새로운 AI 검색, 블로그와 사이트를 운영하는 크리에이터들에게 어떻게 다가올까요?
지금 검색 세계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오늘 판다랭크 뉴스레터에서 한입에 쏙, 치즈 케이크 조각처럼 편하고 재밌게 들려드립니다. 🍭 |
|
|
💡AI 검색이 '제로클릭' 을 만들고 있다고?
*제로클릭(Zero Click)이란? 사용자가 검색 엔진에서 정보를 찾을 때, 검색 결과를 클릭하지 않고도 원하는 정보를 바로 얻을 수 있는 방식*
아래의 스크린샷을 잠깐 보겠습니다! 구글에 "SEO를 최적화하려면" 이라고 검색하면, 가장 상단에 AI Overview 부분에서, 우리가 한 질문에 직접적으로 개요와 답을 출력해줍니다. 하이라이트까지 해서 우리가 물어본 질문에 깔끔하게 답변을 해주고, 각 단어 문단을 나눠서 어떻게 해야하는지, 이 출처는 어디인지 링크를 표기해서 들어갈 수 있는 방법으로도 발전하고 있죠. |
|
|
🔥ChatGPT에 똑같은 질문을 검색하면 구글과 같이 상세한 설명을 포함해서 어떤 요소들이 중요한지, 어떤 툴을 사용해야하는지 핵심 전략을 설명해주기까지 합니다. Search 기능을 켜면 실제 출처와 함께 볼 수도 있어요.
그리고 저는 GPT의 꼬리 질문이 화룡점정이라고 생각하는데요, "구체적인 맞춤 전략 을 줄 수 있다, 주소와 주제를 알려주면 더 실전적으로 도와줄 수 있다" 로 사용자가 궁금해할만하게끔 질문을 제안해줘요. 이런 궁금증을 추가로 제안하는 기능은 Perplexity와 같이, 검색에 특화된 AI에서도 볼 수 있어요. 🤖
|
|
|
그런데 진짜 문제는 여기서 일어나는데요. 🤔
이전에는 사용자들의 니즈에 딱 맞는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서 첫 페이지 이외에 뒷페이지까지 계속 돌아다니는 일도 빈번했고, 개발자분들이라면 자주 아는 *Stackoverflow 같이 코딩 질문 답변을 하는 사이트도 정말 🔥HOT🔥했어요.
*Stackoverflow: 미국의 IT 개발자 커뮤니티 사이트. 프로그래밍을 하다 막히거나 할 때, 프로그래밍에 대한 질문을 하고 답변을 받는데 주로 이용한다.
하지만 이젠 검색 패턴이 바뀌었죠. 사람들은 이전과 같이 웹사이트에서 일일이 정보를 찾아보지 않고, AI에게 자신에게 딱 맞는 맞춤형 답변을 받는 형식으로요. 코딩의 경우는 실제로 AI들이 코드를 짜주고, 제안해주기까지 합니다.
이런 변화 때문에, 실제로 개발자들의 아고라였던 Stackoverflow는 유입이 30% 가까이 감소했어요. 내부에서 추천, 반대 등 사용자들의 상호 지표도 270만에서 85만까지 곤두박질 칠 정도로 급격히 감소했죠.
이 정도 트래픽이면 사이트가 재활이 가능할지 여부를 고민해야 할 정도로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흥미로운 점으로는, Stackoverflow에 비해 Reddit(현재 미국 최대 온라인 커뮤니티) 의 개발자 커뮤니티는 사용자 감소 지표가 거의 보이지 않았다는 점이에요.
|
|
|
Chegg on Monday filed suit in federal district court against Google, claiming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summaries of search results have hurt the online education company’s traffic and revenue. ... Google forces companies like Chegg to “supply our proprietary content in order to be included in Google’s search function,” said Schultz, adding that the search company uses its monopoly power, “reaping the financial benefits of Chegg’s content without having to spend a dime.” ... Chegg claimed that Google drew on Chegg’s collection of 135 million questions and answers on a variety of subjects in its model training data sets.
"Chegg는 월요일에 검색 결과의 인공 지능 요약이 온라인 교육 회사의 트래픽과 수익에 타격을 입혔다고 주장하며 Google을 상대로 연방 지방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 슐츠는 구글이 Chegg와 같은 회사에 “구글의 검색 기능에 포함되기 위해 독점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강요한다”며, 검색 회사가 독점력을 이용해 “한 푼도 지출하지 않고도 체그 콘텐츠의 재정적 이점을 누리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 Chegg는 구글이 모델 학습 데이터 세트에서 다양한 주제에 대한 1억 3,500만 개의 질문과 답변으로 구성된 Chegg의 컬렉션을 활용했다고 주장했습니다."
CNBC - Chegg sues Google for hurting traffic with AI as it considers strategic alternatives |
|
|
이런 현상 때문에, "제로 클릭 검색 (Zero-Click Searches)" 이라는 키워드가 생길 정도인데요.
온라인 기반으로 비즈니스를 꾸리는 구독자분들이라면 이 변화에 반드시 주목해야 해요. AI가 확장될수록 상위노출의 의의가 예전보다 퇴색될 것이기에, 상위노출에만 더 이상 집착하면 안 되는 이유이기도 하니까요!
|
|
|
AI가 도입되면서 검색의 경험이 정말 빠르게, 많이 바뀌고 있죠? 이전 뉴스레터에서도 소개해드린 것처럼, 네이버도 Cue: 와 같은 AI 검색과 더불어 스마트블록, 플레이스 등 AI를 지속적으로 도입하고 있어요.
앞으로 구글뿐 아니라 GPT, 네이버 등 여러 포털에서 AI 검색은 더더욱 심화될 거예요. 온라인에서 사업을 한다면 필연적으로 마주하게 되는 이 상황, 어떻게 대비하면 좋을까요?
다음 판다랭크 뉴스레터에서는 오늘 내용을 해결할 수 있는, AI 검색과 제로 클릭에 대비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
앞으로도 셀러와 크리에이터분들을 앞장서서 돕는 판다랭크가 될 것을 약속드립니다. 🐼 |
|
|
오늘의 판다랭크는 어땠나요?
10초 피드백! 판다랭크에 의견을 보내주세요! |
|
|
|